본문 바로가기

성경적 관점에서 다처제(일부다처제)

biblia 2025. 2. 18.
반응형

성경적 관점에서 다처제(일부다처제)

성경에는 여러 명의 아내를 둔 인물들이 등장합니다. 아브라함, 야곱, 다윗, 솔로몬과 같은 신앙의 조상들이 일부다처제를 행했으며, 이는 고대 근동 문화에서 흔한 관습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성경은 일부다처제를 허용하는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법적인 요소를 제외하고 성경적 관점에서 다처제에 대한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창조 질서와 하나님의 원래 계획

성경에서 결혼의 원형은 창세기에서 발견됩니다. 하나님은 아담에게 한 명의 아내인 하와를 주셨고, 이것이 결혼의 원형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창세기 2:24
이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

이 구절에서 '둘이 한 몸'이라는 표현은 일부일처제의 원칙을 암시합니다. 예수님도 이 말씀을 인용하시며 일부일처제의 원칙을 재확인하셨습니다(마태복음 19:4-6).

구약 시대의 일부다처제

구약 성경에는 일부다처제를 실행한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는 하나님의 원래 의도라기보다 인간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1. 아브라함과 하갈: 아브라함은 사라가 자녀를 낳지 못하자 사라의 여종 하갈과 동침하여 이스마엘을 낳았습니다(창세기 16:1-4). 하지만 이는 가정 내 갈등과 문제를 초래했습니다(창세기 16:5-6).
  2. 야곱과 두 아내(레아, 라헬): 야곱은 라반의 속임수로 인해 레아와 라헬을 동시에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형제 간의 질투와 갈등이 발생했습니다(창세기 29-30장).
  3. 다윗과 여러 아내: 다윗 왕은 여러 명의 아내를 두었지만, 그의 가정은 내적으로 많은 문제를 겪었습니다. 압살롬과 아도니야의 반란, 다말과 암논의 비극적인 사건들은 다처제 가정에서의 복잡한 문제를 보여줍니다(사무엘하 13장).
  4. 솔로몬의 다처제와 그 결과: 솔로몬 왕은 700명의 아내와 300명의 첩을 두었으며, 이것이 그의 신앙을 타락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그의 많은 아내들이 우상 숭배를 가져오며 이스라엘의 영적 타락을 초래했습니다(열왕기상 11:1-4).

이처럼 구약에서 일부다처제를 시행한 인물들은 많았지만, 그것이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오히려 많은 문제와 갈등을 초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신약에서의 결혼 원칙

신약에서는 결혼에 대한 원칙을 더욱 분명하게 정리합니다. 예수님은 결혼이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질서 속에서 남자와 여자의 일대일 관계임을 강조하셨습니다.

마태복음 19:5-6
그러므로 사람이 그 부모를 떠나 아내와 합하여 그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이러한즉 이제 둘이 아니요 한 몸이니 그러므로 하나님이 짝지어 주신 것을 사람이 나누지 못할지니라.

사도 바울도 결혼을 언급하며 남편과 아내의 관계를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로 설명하였습니다.

에베소서 5:31-33
그러므로 사람이 부모를 떠나 그의 아내와 합하여 그 둘이 한 육체가 될지니 이 비밀이 크도다. 나는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하여 말하노라.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 아내 사랑하기를 자기 자신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바울이 교회 지도자(장로, 감독, 집사)의 자격을 언급할 때도, "한 아내의 남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디모데전서 3:2, 디도서 1:6). 이는 일부일처제가 신약의 결혼 원칙임을 보여줍니다.

결론: 일부다처제는 성경적인가?

성경은 일부다처제를 명시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지만, 창조 질서와 신약의 가르침을 보면 하나님의 원래 계획은 일부일처제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구약에서 일부다처제가 존재했지만, 이는 문화적 요소와 인간의 불완전함 속에서 나타난 것이며, 그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했습니다. 신약에서는 결혼을 한 남자와 한 여자의 연합으로 분명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법적인 제약이 없다 하더라도, 성경적으로는 일부일처제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결혼의 모습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