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34

종려주일부터 부활주일까지 일주일 행적

예수님의 마지막 일주일간의 행적🌿 주일 (종려주일 / Palm Sunday)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예수님께서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심 (마 21:1-11, 막 11:1-11, 눅 19:28-44, 요 12:12-19)무리가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호산나” 외침 (마 21:9, 요 12:13)예수님이 성전을 둘러보시고 베다니로 돌아가심 (막 11:11)🍃 월요일 (성전 정화의 날)무화과나무 저주와 성전 정화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심 (마 21:18-19, 막 11:12-14)성전에서 장사하는 자들을 내쫓으심 (마 21:12-13, 막 11:15-17, 눅 19:45-46)“내 집은 기도하는 집이라 일컬음을 받을 것이라…” (사 56:7 인용)🌿 화요일 (논쟁과 교훈의 날)종교지도자들과의 논쟁과 종말.. 신약성경강해 2025. 3. 29.

사순절 설교, 요 18:28-40, 진리가 무엇이냐

진리가 무엇이냐 하더라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순절의 깊은 길을 걷는 우리는 점점 더 예수님의 십자가를 향해 나아갑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본문은 요한복음 18장 28절부터 40절까지의 말씀입니다. 이 장면은 예수님께서 대제사장 가야바에게 신문을 받으신 후, 로마 총독 본디오 빌라도 앞에 서시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겉으로는 재판의 형식을 띠고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인류의 죄와 진리 사이의 충돌이 벌어지는 자리이며, 하늘의 왕이 세상 권력 앞에서 침묵하시는 장엄한 순간입니다."빌라도가 이르되 진리가 무엇이냐 하더라 이 말을 하고 다시 유대인들에게 나가서 이르되 나는 그에게서 아무 죄도 찾지 못하였노라" (요한복음 18:38)예수님은 침묵하셨지만, 그 침묵 속에는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뜻과 구속의.. 신약성경강해 2025. 3. 22.

사순절 설교, 요 18:15-27 닭이 울기 전에

닭이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부인하리라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순절을 지나며 우리는 주님의 고난에 더 깊이 동참하는 영적 여정을 걸어가고 있습니다. 고난주간으로 향하는 이 시점에서, 오늘 우리는 예수님의 고난 가운데서도 특별히 그분의 마음을 찢어지게 했을 사건 하나를 묵상하려 합니다. 바로 베드로의 부인 사건입니다. 이는 단순한 한 제자의 실수나 연약함을 넘어, 인간의 죄성, 배신, 그리고 주님의 용서를 함께 다루는 깊은 구속사적 장면입니다. 오늘 본문은 요한복음 18장 15절에서 18절, 그리고 25절에서 27절입니다. 이 본문은 베드로가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하는 장면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본문을 통해 주님의 고난 속에서 드러난 인간의 부패, 그 안에서 여전히 흐르고.. 신약성경강해 2025. 3. 22.

사순절 설교, 요 18:1-11, 내가 그니라

내가 그니라, 하시니라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순절의 여정을 걸으며 우리는 점점 더 십자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고난주간을 앞두고 묵상하게 되는 본문 가운데, 요한복음 18장 1절에서 11절은 예수님의 체포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면은 단순한 서사로 흐르는 체포 기록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예수님의 순종, 유다의 배신, 제자들의 혼란, 그리고 하나님의 구속사적 계획이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 본문은 우리로 하여금 인간의 죄성과 하나님의 사랑을 동시에 직면하게 하며, 고난의 길을 걸으신 예수님의 내면을 깊이 묵상하게 합니다.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시고 제자들과 함께 기드론 시내 건너편으로 나가시니 그 곳에 동산이 있는데 제자들과 함께 들어가시니라 그 곳은 예수께서 제자들과 자주 모이시는 곳이므.. 신약성경강해 2025. 3. 22.

사순절 설교, 로마서 5:12-21,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또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순절의 시간을 지나며 우리는 십자가 앞에 더욱 깊이 나아갑니다. 이 시간은 단지 외적인 절제나 경건의 습관을 넘어, 죄에 대한 깊은 자각과 하나님의 구속에 대한 깊은 묵상을 요구합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살펴볼 본문은 로마서 5장 12절에서 21절까지의 말씀입니다. 이 본문은 사도 바울이 아담과 그리스도를 대조하면서 인류의 죄와 구원, 사망과 생명, 정죄와 의롭다 하심을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설명하는 대목입니다."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로마서 5:12)이 말씀은 단순한 죄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 신약성경강해 2025. 3. 21.